양수에서 빼는 일, 음수에 더하는 일. '회복'은 어느 쪽일까?
인생에서 겪는 좋은 일과 나쁜 일의 총량은 비슷할까?
마치 삶에도 저울이 있는 것처럼, -이리저리 그만 좀 재라는 말을 들었던 인간답다.- 오늘도 끊임없이 여러 개의 양팔저울이 내 옆에서 갸웃거린다. 아주 사소한 고민을 얹은 손바닥만한 크기의 저울들 수십 개가 모여 자그마한 숲을 이루는 게 일상이고, 또 가끔은 아파트를 세워 둔 것 같은 엄청난 크기의 저울이 존재감을 뽐내며 등장한다. 그리곤 내가 만들었지만 마치 저가 나를 창조한 양 '이걸 고민하지 않으면 다른 건 없어!'라고 엄포를 놓고.
이전처럼 고민하는 것 자체를 고민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. 한때는 그랬었다. 나는 왜, 어느 것도 쉽사리 넘기질 못하고 이렇게 손에 쥐고 있어야하는지 모르겠다고. 여기서 일상보다 스트레스가 조금 더해지면 그냥 좀 단순하게, 아무 생각도 없이 살고 싶다고도 생각했었다. 그럼 세상은 온통 아름다워보이겠지, 같은 속 편한 소리와 함께. 그냥 생각없이 시간을 흘려보내다가 아주 거대한 후폭풍을 (아직은 맞아본 적 없지만) 맞을 수도 있다는 무의식의 두려움이 항상 나를 깨우곤 했다. 특히 대학 입시를 지나고 학부 과정을 소화하면서는 내내 그랬던 것 같다. 뭔지 모르지만 미래의 내가 자꾸 채찍질하는 기분이었달까. 사실 아무도 주변에서 날 재촉하지는 않았었는데. 기업들의 취업 설명회를 쫓아다니고, 멘토링 프로그램을 듣고, 서울 모 컨설팅 업체에 상담을 받으러 가서는 이과생은 절대 아니라는 엉뚱한 결론을 얻어 오곤 했었다.
이제는 조금 받아들이는 편인 것 같다. 불확실한 미래는 언젠가 끝나는 게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될 거고, 다만 그 어느 순간을 위해 준비하면 좋을 것들이 있으며, 그럼에도 불구하고 준비되지 않은 무언가가(보통 안 좋은 류의 일이겠지) 코앞에 닥친다면 어떻게든 해결할 수 있다는 것. 아주 큰 일을 겪어서 내가 상처입더라도, 어떻게든 성장하고 이겨낼 수 있을 거라는 조금 자만한 믿음도 함께. 그 믿음이 지난 몇 달간 힘겨웠던 내가 다시 글을 적는 원동력이 되었다. 발행 예정 기간이었던 11월을 넘기고, 12월과 1월도 휩쓸려 지나가면서 어느 새 약속했던 발행 기간 한 회차가 넘어가버린 2월에 이 글들을 마감하면서 문득 그 생각을 다시 한다.
간단하게 사진 하나, 트윗 하나로도 생존 신고를 하고 일상을 공유할 수 있겠지만- 아직도 구식인 사람은 이렇게 드문드문 떠올리고, 적었다가 지우고 고치고를 거듭하는 짧은 꼭지 몇 개로만 생존 신고를 하는 법인가 보다. 폭풍같은 나날들이 지나는 와중에 때로는 눈에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자잘한 흔적이 간단한 연락 하나, 글자 한 줄로 없어진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었다. 어쩌면 어느 것은 극복했다는 것조차 모르고 지나갔겠지. 거창한 바람일 수도 있겠으나 이 글을 적으면서, 또 읽으면서 누군가의 어느 무엇이라도 좋아지길 바란다. 아주 조금이라도.
'계간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12월_완벽 (0) | 2021.02.11 |
---|---|
#12월_I AM YOU (0) | 2021.02.11 |
#12월_삶은 버스 (0) | 2021.02.11 |
#8월_서문 (0) | 2020.09.18 |
#8월_Summer Hate (0) | 2020.09.18 |